기본현장시험
- 지반조사 안내
- 기본현장시험
지반조사의 여러 항목 중 국토지반정보 포털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현장시험과 실내시험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반조사 시험의 종류
표준관입시험
- 표준관입시험은 외경 5.1cm, 길이 81cm의 중공인 split spoon sampler를 보링로드에 붙여서 원지반에 관입시킨 후 63.5kg의 해머로 낙하고75cm에서 자유낙하로 타격시켜 샘플러가 흐트러지지 않은 자연지반에 30cm 관입하는데 요하는 타격횟수를 구하는 시험입니다.

TCR/RQD
-
TCR(Total Core Recovery)은 암반의 구성에 따라 시추한 암석의 길이에 대한 회수된 코어길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며,
RQD(Rock Quality Designation)는 시추코어 중 100mm이상 되는 코어 길이의 합을 시추 길이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한 값으로 암질의 상태를 나타내는데 사용합니다.

RMR
- RMR(Rock Mass Rating)은 현장이나 시추자료에서 구할 수 있는 6가지 변수(암석강도, RQD, 불연속면 간격, 불연속면 상태, 지하수 상태, 불연속면의 상대적 방향에 대해 점수를 주어 암반을 분류하고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평가항목 | 평점 | ||||||||
---|---|---|---|---|---|---|---|---|---|
1 | 무결암강도 | 점하중강도(MPa) | > 10 | 4~10 | 2~4 | 1~2 | 일축 압축 강도 사용 | ||
일축 압축강도(MPa) | > 250 | 100~250 | 50~100 | 25~50 | 5~2, 5 | 1~5 | <1 | ||
평점 | 15 | 12 | 7 | 4 | 2 | 1 | 0 | ||
2 | RQD(%) | 90~100 | 75~90 | 50~75 | 25~50 | < 25 | |||
평점 | 20 | 17 | 13 | 8 | 3 | ||||
3 | 불연속면 간격 | > 2m | 0.6~2m | 200~600mm | 60~200mm | < 60mm | |||
평점 | 20 | 15 | 10 | 8 | 5 | ||||
4 | 불연속면 상태 | 매우 거침. 불연속 이격없음. 절리면 신선 |
다소 거칠다. 이격 < 1mm 절리면 약산풍화 |
다소 거칠다. 이격 < 1mm 절리면 심한풍화 |
매끄럽다. Gouge 두께 < 5mm 이격1~51mm연속 |
연약한 Gouge 이격 > 5mm 연속 |
|||
평점 | 30 | 25 | 20 | 10 | 0 | ||||
5 | 지하수상태 | 터널길이 10cm 당유입량(ℓ/min) |
없음 | < 10 | 10~25 | 25~125 | > 125 | ||
절리수암 최대주 총력비 |
0 | < 0.1 | 0.1~0.2 | 0.2~0.5 | > 0.5 | ||||
일반적 조건 | 완전 건조 | 습기 있음 | 젖어있음 | 물이 떨어짐 | 물이 흐름 | ||||
평점 | 15 | 10 | 7 | 4 | 0 | ||||
6 | 불연속 주향과 경사 | 매우 유리 | 유리 | 양호 | 불리 | 매우 불리 | |||
점수 | 터널 기초 사면 |
0 0 0 |
-2 -2 -5 |
-5 -7 -25 |
-10 -15 -50 |
-12 -25 -60 |
Q
- Q-System은 스칸다나비아 지방의 약200개의 터널에 대한 연구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제안 되었으며, 정량적인 분류체계로서 RQD, 불연속면군(joint Set)수, 불연속면 거칠기, 불연속면 변화 정도, 지하수에 의한 감소계수, 응력감소계수 등을 반영하여 암반을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Q값 | 암반 등급 | 암질 상태 |
---|---|---|
400~1000 | 1 | 예외적으로 양호 |
100~400 | 2 | 극히양호 |
40~100 | 3 | 매우양호 |
10~40 | 4 | 양호 |
4~10 | 5 | 보통 |
1~4 | 6 | 불량 |
0.1~1 | 7 | 매우불량 |
0.1~0.01 | 8 | 극히불량 |
0.01~0.001 | 9 | 예외적으로 불량 |
수압시험
- 수압시험은 수압을 이용하여 절리를 포함한 암반의 특수성을 시험하는 방법입니다. 팩커(packer)를 사용, 하향식으로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압력의 증감은 5~9단계를 실시하여 각 단계에서 주입압력별로 약 10분간의 가압시간을 유지하여 정확한 주입수량을 측정하여 시험합니다.

투수시험
- 투수시험은 지반의 투수성에 따라 투수성이 낮을 경우(세립토)에는 변수위측정법이 사용되고 투수성이 높을 경우 (조립토)에는 정수위 투수법이 사용된다. 측정방법은 시험공 내에 설치한 케이싱(casing)상단까지 물을 주입하고 시간에 따른 수위강하를 측정하는 것으로, 초기에는 측정간격을 작게 측정하고 수위 강하량의 감소에 따라 측정시간 간격을 증가시켜서 측정합니다.

공내재하시험
- 공내재하시험은 시추공의 공벽면을 가압하여 그때의 공벽면 변형량을 측정함으로써 지반의 변형 특성을 조사하는 시험입니다. 연약지반의 점토부터 경암까지 지반의 변형특성 파악과 대형빌딩, 지하철 굴착, 원자력 발전소 등 기초조사 방법 및 암반분류의 지표를 얻기 위하여 실시되기도 합니다.
